본문 바로가기

rue&lune648

젊은 게이머가 대다수인 게임유저들이 막말하는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젊은 게이머가 대다수인 게임유저들이 막말하는데는 다 이유가 있습니다. 말을 해도 대답도 없고 대답을 해도 내가 했던 물음에 대한 바른대답이아니라 '나는 모른다 하지만 어쩔 수 없다 그건 니생각과는 다르다' 마치 벽과 소통하는 기분이 드는데 게임은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사람들이 애초에 게임이 구린데 이따위로 했으면 별말할필요도 없이 게임 지우고 말았을겁니다. 그래도 사람들은 게임을 어떻게든 즐기고 싶은거에요. 그렇잖아요 욕질에 개념없는 행동하는 사람을 만나도 내 일이 아니면 아싸리 무시를 하던가 할건데 그래도 내일인거 같아서 뭐라뭐라 이래저래 하지말라고 타이르는데 말을 해도 듣지를 않고 욕질에 주먹질까지 날리면 멀쩡한 사람이라도 욕이 나오고 주먹이 절로 나오는거죠.(성깔있는 일반인) 도망치는 사람(접는유.. 2014. 9. 12.
크리티카 베스트 공략 이벤트 당첨자 크리티카 베스트 공략 이벤트 당첨자 http://cafe.naver.com/gamevilkritikamobile/30866 크리티카 베스트 공략 이벤트 당첨자 입니다. 아바타 옵션이 애초에 이벤트에 명시안된건 또 그렇다 치고 너무한것 아닌가요? 유저의 노력에 따른 보상 그것도 베스트라는 이름이 붙는 공략글에 대한 보상이 겨우 이런것이라뇨? 아바타 룩이야 특별판이니 뭐니 할 수 있지만 결국 중복으로 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단일로 끼는 아바타인데 창고에 넣어두고 감상하는 감상용이 아니지 않습니까? 옵션이 기본 아바타의 반도 안되는 옵션이더군요. 기본아바타 이벤트아바타 공격 414 / 153 방어 114 / 42 마나 693 / 256 공략왕 베스트공략 같은 명칭 쓰면서 주는 보상이라는게 너무 황당한것 같습.. 2014. 9. 12.
펌 - 게임폐인유부녀 광전사의 길 - 공략 아바타 없이 플레이한 무과금 유저 게임폐인 곰근육마스터 입니다. 조언과 천부적인 여성의 센스(!?)를 이용해서 저의 평소 과격한 매력을 발산해줄 광전사로 크리티카를 무법지옥으로 만들고 있는 유저입니다. - 기본 적인 스킬 사용에 대한 이해 1-1 생각없이 스킬을 마스터하지 않는다. 초반부터 아무스킬이나 마스터해버리면 골드소모 + 사냥도중 MP의 부재를 겪게됩니다. *이는 몬스터웨이브나 일반 사냥시에 큰 타격을 줍니다. *자동사냥시에 MP가 남아돈다면 스킬을 조금씩 올려주시는게 좋습니다. *40이상 고렙+강화가 많아지게 되면 MP가 점점 넘쳐나기 시작할것입니다. 1-2 범위가 좁은 스킬을 버린다. 고렙이되든 저렙이 되든 몬스터웨이브든 대부분의 던젼이 클리어타임이 있습니다. 기술로 때려잡든 평타로 때려잡든 .. 2014. 9. 12.
140804 투기장 / 몬스터웨이브 보상 시스템 건의 투기장 / 몬스터웨이브 보상 시스템 건의 드립니다. 저를 위한 건의는 아닙니다. 보상시스템이 다소 황당한 면이 있어서 건의드립니다. (사실 많이 황당합니다. ^^;) 1. 랭킹 시스템 문제 랭킹 개념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여지껏 랭킹점수를 통합한 통합랭킹 일정기간내에 리그동안의 리그 랭킹 (약일주일) 통합랭킹이라는건 누적수치이기에 사실 랭킹 보는맛 이외에는 큰의미가 없어야 된다고봅니다. 리그랭킹 매시즌별로 랭킹이 계속해서 일어나는 부분으로 이 부분의 경쟁이 제일 심해야한다고 봅니다. 그런데 보면 통합랭킹 보상이 더높고 리그랭킹 보상이 현저히 낮습니다. 이는 신규유저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랭킹 보상입니다. 통합랭킹의 보상이 높다는것은 별다른 노력도 없이 높은 보상을 받게되는경우가 됩니다. 리그랭킹의 보상이.. 2014. 9. 12.
펌-CBT유저의 크리티카 무과금 공략법 - 저렙를 위한 펌- 멋지구리하게 바꿔적고 싶지만 요즘 워낙 바쁘고 귀찮음에 공략이라기엔 뭣하고 오히려 팁이라고 할수 있는 글을 적어 볼까 합니다. 이 내용은 철저히 같이 게임을 하고 있는 이에게 주입식으로 알려주며 제가 알려준 방식으로 게임을 하게 하였고, 효과를 보았으며 최근 저의 일탈로 공략외의 루트를 팠다가 크게 피를 보며 '아 내 공략이 맞았구나' '내가 왜 일탈을 했는가' 라는 성토를 하게끔 하는 그런 내용입니다. CBT를 거치며 구상을 하다가 정식오픈후에 크게 달라진게 없는 게임을 보며 CBT 당시의 공략 그대로 행해도 된다는 것을 알고 실천하였습니다. --------------------------------------- 교본이라 생각하고 아주 약간의 방식만 자신의 스타일로 갖추어 나간다면 무리없이 레벨링.. 2014. 9. 12.
140717 기술대미지와 성능 문제 기술 대미지와 성능 문제 CBT때도 문제가 있었는데 체술사를플레이한 유저입니다. 일단 첫번째로 문제가 기술사용중에 무적이 아니라는것입니다. 기술을 사용하고 지나가고있는데 적이 공격하는 타겟의 위치가 지나가는 위치면 플레이어의 피가 소모되고 보스라면 사망합니다. 패턴을 피할 방법이라곤 런 앤 히트와 스턴 넘어뜨리는 방법밖엔 없는데 클리어 난이도 대비 주어지는 시간도 작을뿐더러 레벨제한 대비 난이도가 너무 높습니다. 방어구부터 무기 스킬까지 그 레벨대에 얻을 수 있는 재련으로 최대한 할 수 잇는 수준으로 강화를 해놔도 소용이 없습니다. 무적이 아니라면 적어도 회피기술이 될만한 기사에겐 가드 체술사에겐 구르기같은 회피기술이 필요할듯 합니다. 이 문제는 기술의 대미지와 레벨에도 연관이 됩니다. 기술의 레벨이 올.. 2014. 9. 12.
140717 과금시스템 건의 과금 시스템이 과한면이 있는것 같습니다. 어느정도 과금을 했을 때 편하게 게임할 수 있고 기분좋게 들어오는게 있어야 그래도 다음 콘텐츠 나올때 또 과금하게 되고 그런데 노동을 커버하는 과금치고 과한면이 있는듯합니다. 2~3만원 정도면 옵션 좋은 방어구 풀셋팅할 정도나 아바타정도는 풀셋팅 할정도는 되야 되는데 처음부터 이것저것 다뽑아놓고선 몇만원 쓰는거에 비해 장비하나 수준이라면 결국은 레벨업 하면서 버릴아이템에 돈쓰기보단 최종콘텐츠에만 돈을 쓰게되지 않겠습니까? 혹여 현질안하고 플레이를 하기를 좋아하는 유저들 조차도 끌어오게끔 소소하게 나마 현질을 할 수 있는 콘텐츠는 하게끔 해야되는게 아닌지요. 이상태라면 현질안하려는 유저는 절대안할꺼고 현질하는 유저도 과금대비 효과가 미미해서 현질하다 질려서 떠날듯하.. 2014. 9. 12.
CBT- 140627 아이템 보상건의 아이템 보상관련하여 건의드립니다. 던젼클리어시 보상에 대한 문의 및 건의 입니다. 유저에겐 알권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던전클리어시 보상을 3가지 선택지를 통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어디를 클릭하든 정해져있지 않응 상태에서 3가지중 하나를 받는것이야 수백번 클릭해본 유저들도 잘알것입니다. 다만 특정 위치를 클릭함으로 인해 확률적으로 더 높은 아이템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생기는 메리트가 있는지 알아야 유저들에개 좀 더 정당한 보상과 즐길권리가 함께 보장 된다고 봅니다 예로 1 2 3 선택지가 있을경우 아이템을 받을 확률이 1번자리의 경우 좋은아이템 0.01퍼센트 (만번중한번) 중급아이템 0.19퍼센트 (만번중 19번ㅠㅠ) 똥급아이템 99.8퍼센트 만번중 9980번 라고 치면 2번은 좋 0.05 만번중 5번.. 2014. 9. 12.
CBT - 140627 버그 건의사항 1. -- 미션의 경우 특정맵의 특정 난이도를 클리어하라는 것이 있는데.보통 난이도로 지정되어있어서 바로가기를 했더니 어려움으로 지정되어있었습니다. 어려움으로 클리어시 미션클리어도 안되었습니다. 여기엔 두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째 보통이상 난이도 클리어 조건이여야 한다 특정 이상은 어차피 더어렵기에 클리어 조건에 들어가야 한다고 봅니다 둘째 현재는 보통만 클리어되게 되있으므로 바로가기시 클리어 가능한 난이도로 자동지정 되어야합니다. 첫째문제가 해결된다면 두번째 문제는 생각할 필요도 없겠죠 2. -- 아이템 강화 수치에 대한 문제 *아이템 강화시 이미 +된 아이템이 있다면 예로 재료의 수치가 만큼의 강화에 대한 보상이 보장되어야합니다 강화재료가 +에 상관없이 무조건 +1 만 되는것은 다소 운영진이 유저.. 2014. 9. 12.